리빙

마스크, 이젠 각자 선택

author.k 2022. 12. 8. 20:45
반응형


실내 마스크 자율화에 대한 전문가 의견도 엇갈린다.

아직 시기상조란 의견의 바탕엔 여전히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에 이르지 않은 데다 겨울철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시기 실내 마스크 자율화 조치는 국민의 방역 긴장감을 필요 이상으로 떨어트릴 수 있단 우려가 있다.

방역당국 역시 아직 겨울철 재유행이 정점에 이르지 않았다 판단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첫 감염보다 치명률이 보다 높은 재감염이 증가하며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그간 질병관리청과 방대본에서 일관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상황은 (코로나19 유행이) 증감을 반복하면서 앞으로 당분간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이란 방향"이라며 "현재가 정점으로 보지 않고 조금 더 증가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1월 한 달간 코로나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 사례 비율은 10.36%에서 13.29%까지 상승했다. 오미크론 BA.5 변이가 우세화된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확진자 695만2932명 대상으로 감염 횟수별 치명률을 분석한 결과 재감염 때 연령표준화 사망위험도는 첫(초회) 감염 때보다 1.72배 높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월 말 마스크 자율화는 당초 전문가 논의 과정에서 언급된 시기보다 빠르다"며 "지난달 코로나19로 1300명 이상 사망했고, 아직 유행 정점을 장담할 수 없는 시기인데 마스크 해제를 언급하면 국민에 매우 큰 방역 완화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더구나 12~2월은 코로나19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폐렴, 호흡기 감염질환, 심혈관질환 중환자가 많은 시기로 의료대응체계 부담이 커진다"며 "더구나 아직 동절기 추가접종률은 고위험군을 지키기에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론에 따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는 건 과학방역이 아니라 정치방역"이라며 "내년 1월 자율화하고 위중증환자와 사망자가 늘면 누가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제 마스크 착용은 각자 선택에 맡길 시기가 됐단 의견도 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마스크 착용 의무의 효과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이제 고위험군에 대한 신속한 치료제 처방으로 중증 환자 방지에 집중할 시점"이라며 "지금의 마스크 자율화 논의는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층 확진자도 항바이러스제를 즉각 처방하면 중증으로 갈 확률이 현저히 낮다"며 "지금은 자연감염도 많이 됐고 백신과 치료제도 있는 만큼 마스크 착용은 자율화 해도 된다"고 덧붙였다.

최재욱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는 "마스크 자율화로 심리적인 방역 긴장감이 떨어질 수 있지만 전문가와 논의를 통해 기준을 마련하고 시행한다면 내년 1월이라 해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